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국민취업지원제도로 고용보험 없는 구직자도 도움받으세요!

카테고리 없음

by policyinfo 2025. 2. 23. 12:30

본문

고용보험이 없는 구직자를 위한 든든한 취업 지원 제도!
경제적 어려움으로 취업이 힘든 분들에게 구직촉진수당 및 취업활동 지원을 제공합니다.

청년정책통합플랫폼_국민취업지원제도_보도자료.pdf
0.26MB


국민취업지원제도란?

국민취업지원제도는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취업 취약계층에게

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한국형 실업부조 제도입니다.
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

저소득 구직자, 청년, 경력단절여성, 중장년층 등에게 경제적 지원과 취업서비스를 제공하여
취업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
💡 도입 배경

  • 기존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만 받을 수 있어,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프리랜서, 자영업자, 경력단절자 등은 지원받기 어려웠음.
  • 이에 따라 실업급여 사각지대를 보완하고, 취업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됨.

💡 진행 경과

2021년 1월 1일: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(기초생활수급자, 청년, 경력단절여성 지원 시작)
2022년: 소득기준 완화 및 지원 대상 확대 (자영업자, 특수고용직 포함)
2023년: 지원금 상향 및 맞춤형 취업 연계 강화
2024년: AI 기반 취업 매칭 서비스 도입
2025년: 청년정책 통합플랫폼 온통청년(클릭) 연계 지원


지원 대상 및 혜택

1️⃣ I유형 (구직촉진수당 지원)

지원 대상

  • 15세~69세 이하
  • 재산: 4억 원 이하 (청년은 5억 원 이하)
  • 소득: 가구 중위소득 60% 이하 (청년(15~34세) 중위소득 120% 이하)

지원 혜택

  • 구직촉진수당 최대 300~540만 원 지급
  •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 제공

2️⃣ II유형 (취업활동비용 지원)

지원 대상

  • 15세~69세 이하
  • 소득: 가구 전체 중위소득 100% 이하 (청년(15~34세)은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 가능)

지원 혜택

  • 취업활동비용 최대 200만 원 지급
  • 직업훈련비 및 일자리 매칭 지원

주요 지원 내용

🔹 1:1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

  • 취업 전문가와 1:1 상담을 통해 진로 설계 & 구직 전략 수립
  • 구직자의 희망 직무 및 경력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추천

🔹 직업훈련 및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

  •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 지원 (IT, 마케팅, 회계 등)
  • 직업훈련비 최대 300만 원 추가 지원 가능

🔹 구직활동 지원금 지급

  • 일정 요건 충족 시 매월 50만 원~ 최대 540만 원 지급

💡 추가 혜택

✔ 실업급여와 다르게 고용보험 미가입자도 신청 가능!
✔ 취업 후에도 일정 기간 사후 관리 및 추가 지원 제공


신청 및 진행 절차

1️⃣ 신청 접수 (온라인 또는 고용센터 방문)
2️⃣ 자격 심사 & 선정 (소득·재산 확인)
3️⃣ 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(직업훈련, 일자리 매칭 등)
4️⃣ 구직촉진수당 지급 (I유형 해당자)
5️⃣ 최종 취업 & 사후 관리 지원

📌 신청 방법

📌 문의처

  •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

📌 신청하기 👇


신청하기


💡 국민취업지원제도 Q&A

❓ 실업급여와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차이는?

✅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만 받을 수 있음.
국민취업지원제도는 고용보험 미가입자도 지원 가능

❓ 신청 후 얼마 만에 지원받을 수 있나요?

✅ 신청 후 약 4~6주 내에 심사가 완료되며, 지급이 시작됩니다

❓ Ⅰ유형과 Ⅱ유형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모르겠어요!

고용24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

❓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받다가 취업하면 어떻게 되나요?

✅ 취업 성공 시 취업성공수당이 추가로 지급될 수 있으며,

      일정 조건 충족 시 사후 관리 지원도 가능합니다.


추가 정보 확인 및 신청

📢 공식 홈페이지: 고용24
📢 문의처: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☎ 1350

 

📌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 👇
신청하기